치주질환이나 충치로 어금니를 잃는 것은 누구에게나 피하고 싶은 일입니다. 저희 클리닉은 가능한 한 자연 치아를 보존하는 것을 최우선으로 하며, 최신 보존 치료를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습니다. 특히 루트 리섹션(근분기부 절제술)은 진행된 경우에도 치아를 살릴 수 있는 강력한 선택지입니다. 우선, 어떤 선택지가 있는지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저희의 경험과 실적

  • 오랜 임상 경력: 1980년대부터 일관되게 치주 치료와 보존 수복 치료를 시행
  • 우수한 결과: 평균 치아 상실률 2.8% (도쿄 국제치과 롯폰기 기준 평균 통원 16년의 실적에 근거)
  • 많은 환자분들께 신뢰받고 있습니다

원장 전문성

저희 원장은 스웨덴 예테보리대학교(University of Gothenburg)에서 치주 및 근관 치료에 대한 전문 교육을 받았습니다. 국내외 학회와 최신 연구를 바탕으로 난이도 높은 증례에서도 최적의 치료를 선택합니다.

루트 리섹션이란?

  • 개요: 치근의 일부(주로 근분기부)를 외과적으로 제거하여 남은 건강한 치근을 보존하는 치료
  • 주요 적응증: 진행된 치주질환, 재근관치료가 어려운 감염 또는 치근 파절이 있는 어금니
  • 장점: 발치를 피할 수 있으며 저작 기능 보존 및 주변 골 유지에 기여
  • 위험 및 주의사항: 수술 후 유지관리(관리 및 구강위생)가 필수이며, 경우에 따라 다른 치료가 더 적합할 수 있습니다

역사 및 주요 연구

원래 이 방법은 치주질환으로 인해 근분기부까지 골 소실이 발생한 경우에 시행되었으며, 1975년 예테보리대학교의 Hamp 교수가 임상 연구를 보고하였습니다.

 

제가 1986년에 치과의사가 되었을 때에도 특정 환자에게 루트 리섹션으로 치아를 보존한 적이 있습니다. 당시에는 임플란트가 널리 시행되지 않았기 때문에 치아의 일부라도 보존하는 것이 매우 중요했습니다.

또한 1980년대에는 McFall이 15년 후 치주치료의 결과를 보고했으며, 치료받은 치아 중 11.4%가 발치되었고 그 중 9.8%는 치주질환으로 인한 발치였습니다.

 

과학적 근거와 저희의 진료 방침

최근의 임상 연구에서도 루트 리섹션을 포함한 보존치료의 유효성이 보고되고 있습니다. 저희는 이러한 근거를 바탕으로 환자분들의 삶의 질(QOL)을 중시한 치료 계획을 제시합니다.

저희 진료 스탠스(신뢰성)

  • 불필요한 발치는 권하지 않습니다
  • 환자분의 희망과 임상적으로 최선의 선택을 균형 있게 제안합니다
  • 수술 후 정기 관리 및 셀프 케어 지도를 철저히 합니다

치료 과정(간략)

  1. 상담 및 구강 검진(엑스레이, 필요 시 CT)
  2. 치아 보존 가능성 평가 및 치료 계획 제시(장점·위험 설명)
  3. 루트 리섹션 시술 시행(필요 시 근관치료 및 보철치료 병행)
  4. 정기적인 유지관리 및 셀프 케어 지도

환자분께 드리는 말씀

치아를 잃고 싶지 않거나 가능한 한 자연 치아를 오래 유지하고 싶으신 분께, 저희는 최신 지견과 풍부한 임상 경험으로 최적의 보존치료를 제안합니다. 먼저 편하게 상담해 주시기 바랍니다.

오늘 상담예약을 원하시는 분은

이쪽을 클릭해 주십시오.

(도쿄국제치과 롯폰기 정보)

지도는 이쪽 링크를 클릭하시면 됩니다.

약도·주소: Tokyo, Minato-ku, Roppongi 5-13-25 2F

전화: 03-5544-8544

가까운 역:

아자부주반(도에이 오에도선 출구7

도쿄메트로 남보쿠선 출구5a

롯폰기(히비야선 출구3

건강하고 아름다운 미소를 함께 만들어가겠습니다.

 

Hamp, S. E., Nyman, S., & Lindhe, J. (1975). Periodontal treatment of multi rooted teeth. Results after 5 years. Journal of Clinical Periodontology, 2(3), 126–135.

https://onlinelibrary.wiley.com/doi/abs/10.1111/j.1600-051x.1975.tb01734.x

McFall Jr, W. T. (1982). Tooth loss in 100 treated patients with periodontal disease: A long‐term study. Journal of Periodontology, 53(9), 539–549.

https://aap.onlinelibrary.wiley.com/doi/abs/10.1902/jop.1982.53.9.539

医療法人社団EPSDC